영미 시의 시적 전통과 중국 고대시의 영향
리영리는 1980년대 이후 작품 활동 내내 매릴린 친, 캐시 송, 명미 김 등과 함께 큰 주목을 받아 온 중국계 미국인 시인이다. 아시아계 시인으로서는 유일하게 2005년에 《노튼 시 선집(Norton Anthology)》에 시가 수록되면서 정전 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시인은 서구 또는 영미의 시적 전통과 이백이나 두보 같은 고대 중국 시인들의 전통 및 기법을 혼합하여 자신만의 분명한 시 세계를 구축한다. 시인의 스승 제럴드 스턴은 리영리의 시가 “숭고함이 그가 집중하는 영역에 들어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하려는 의지, 언어에 대한 헌신, 거룩함에 대한 믿음”을 잘 보여 준다고 평하면서 이는 존 키츠나 라이너 마리아 릴케 같은 주요 유럽 시인들의 전통을 상기시킨다고 주장한다. 리영리도 자신에게 큰 영향을 끼친 시인으로 에밀리 디킨슨, 로버트 프로스트, 월트 휘트먼 등 전통적인 미국 시인들을 꼽는다. 또 조용하고 명상적이면서도 구어적 어조와 독백, 간결하지만 힘 있는 리듬의 사용은 이백과 두보의 영향을 잘 보여 준다. 특히 리영리 시 세계 전반에 걸쳐 침묵의 사용이 두드러진 기법으로 나타난다. 어린 시절 아버지가 이 시인들의 시를 읽고 외우게 한 영향이 있을 것이다.
기억의 시인
리영리는 “기억의 시인(poet of memory)”이다. 그는 기억하는 행위와 기억의 작용을 시적 특성인 은유적 사유 속에서 인상 깊게 표현함으로써, 왜 그가 기억을 다름 아닌 “시”라는 매개체를 통해 다루는지 이해하게끔 한다. 시집 《내가 당신을 사랑하는 도시》에 실린 아버지에 관한 시들은 이렇게 기억과 망각 사이에서 진동하는 인간 심리와 정서를 조명한다. 또 이 시집의 여러 시가 고통의 기억과 그것의 망각 사이에서 고뇌하는 화자를 보여 준다. 기억은 소중한 이의 부재를, 상실한 것에 대한 그리움을 동반한다. 〈이 시간과 죽은 것〉에서 화자의 트라우마, 즉 유령 같은 형의 출몰(haunting)은 화자로 하여금 특정 시공간에 관계없이 형의 죽음, 상실을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만든다. 화자에게 이 “죽음”은 생존한 자신의 고통(상실감, 우울감, 무력감)을 계속해서 분명하게 일깨운다. 부재하는 형의 출몰이 화자의 존재를 반복적으로 증명하는 역설이다. 이렇게 트라우마는 죽음과의 반복적인 조우일 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존과의 반복적인 조우이기도 하다. 한마디로 트라우마의 반복은 “자신의 생존을 주장하려는 시도 그 자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