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건축,
공간이 아닌 필요를 채우다
건축은 단순히 그럴듯한 형태나 공간을 만드는 행위가 아니다. 사람과 사회에 대한 고려를 중심에 두는 행위다. 세드릭 프라이스는 이러한 건축관에 기반해 근대의 엄숙한 기념비적 건축을 넘어선다. 만들어 가고 사용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건축을 추구했다. 이를 위해 첨단 기술과 사이버네틱스를 적극 활용하며 건축에 ‘불확정성’과 ‘가변성’을 불어넣었다. 정해진 형태 없이 계속 변화하면서 사용자의 필요와 시간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는 프라이스의 건축은 현대 건축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은 〈펀 팰리스〉, 〈포터리스 싱크벨트〉 등 프라이스의 여러 독창적 프로젝트를 조망한다. “조력의 철학”, “예상해서 설계하기”, “타이밍” 등 핵심 키워드들로 프라이스의 건축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아울러 프라이스가 어떻게 건축을 통해 교육 네트워크를 구축하거나 쇠퇴한 공업 지역을 재활성하려 했는지 자세히 살필 수 있다. 현대 건축의 문을 활짝 연 프라이스를 좇아 우리가 공간을 경험하고 사용하는 방식을 색다른 시각으로 고찰해 보자.
세드릭 프라이스(Cedric Price, 1934∼2003)
현대 건축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영국의 건축가이자 저술가, 교육자다. 작품으로서 건축보다는 교육과 종이 위의 프로젝트 등에 집중하며 사회적 변화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건축의 잠재력을 탐구했다. 케임브리지대학교를 졸업하고 AA스쿨에서 수학했으며 동 학교에서 가르치기도 했다. 1960년 건축사무소 설립 후 〈펀 팰리스〉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다른 주요 프로젝트로는 〈포터리스 싱크벨트〉(1966∼1967), 〈논-플랜〉(1969), 〈인터액션 센터〉(1970∼1981), 〈제너레이터〉(1976∼1980), 〈사우스뱅크〉(1983∼1988), 〈마그넷〉(1995∼1996) 등이 있다.